호텔리어 강태영의 서비스 경영

말하기 7

말과 관련된 속담

말과 관련된 속담 속담(俗談)의 사전적 정의는 ‘옛적부터 내려오는 민간의 격언’이라든가, 혹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이라 되어 있다. 속담이 언어 표현 형식의 방식이고, 오랜 옛날부터 현재까지 그 속담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집약적으로 담아서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속담, 특히 한국어의 말 관련 속담에는 한국인들의 언어에 대한 총체적 인식이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말 관련 속담 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다양한 언어관을 살펴봄으로써 한민족의 언어문화를 알 수 있다. ​ ​ 말과 관련된 속담 말과 관련된 속담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다른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이야기 잘하는 법 배우기

옛날 이야기꾼은 주로 장터에서 사람들을 상대로 설화, 민담을 이야기했다. 그러나 이들은 좀 다르다. 모임의 처음부터 끝까지 쥐락펴락하는 사회자형, 화제의 맥을 짚어가며 이야기를 풀어가는 해설가형, 마음 맞는 동료와 주거니받거니 이야기를 끌어가는 만담꾼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 분위기메이커라는 점이다. 물론 이들이 전해주는 팁만으로 모두 뛰어난 이야기꾼이 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실망하지 말자. 들어주는 당신이 없다면 이야기꾼이 설 곳은 어디에도 없을 테니까. ○ 공부냐 순발력이냐 김방신 부장은 동서고금의 해박한 지식으로 이야기를 끌어간다. 올해 세운 목표 중 하나가 경제 경영 중국고전과 관련한 책 50권 읽기. 매일 신문을 줄쳐 가며 읽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분야로 나눠 스크..

얼굴을 통한 상대의 심리 파악

얼굴을 통한 상대의 심리 파악 눈이나 코, 턱 등의 얼굴의 일부분을 만진다. -자기의 허약함을 감추려는 의사 표시다. 가축이 병들었을 때는 자기의 몸을 핥는 버릇이 있듯이 인간도 나약해졌을 때는 자기의 얼굴을 만지는 버릇이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닐슨 대통령이 워터게이트 사건 에 휘말려 기자 회견을 할 때 턱을 받치거나 코를 쥐는 행동을 많이 보여 주었는데 이 것은 기자들의 질문 공세로부터 자신의 허약함을 감추기 위한 태도였다고 볼 수 있다. 맞장구를 치지 않고 가벼운 미소를 짓는다. -완곡한 거부나 난처함의 표시이다. 귀찮은 상대나 보기 싫은 손님을 내쫓는 데는 맞장구를 치지 않고 그저 가벼운 미소만 짓는 것이 상책이다. 이러한 미소는 상대를 혹독하게 거절하지도 않으면서 스스로 물러나게 하는 효과를..

어려운 발음 총 집합 !

정확한 발음은 강사(연사)의 기본 이겠죠 ? 그리고,Talk & Listen을 강의하려면 발음 연습을 한번씩 하죠 ? 돌아가면서 빨리 읽으면 재미도 있고, 서먹함도 사리지고 .... 강사님들 나름대로 재밌게 구성해보세요. * Spot으로도 활용 OK... 책에서 찾은 것도 있고 몇분의 아나운서께서 알려 주신것도 소개합니다 ^^ 일반인들도 연습하면 말하는데 큰도움이 됩니다(강추) 신진 샹송 가수의 신춘 샹송 쇼우 중앙청 창살 쌍창살 조달청 창살 쇠창살 경찰청 쇠창살 외철창살, 검찰청 쇠창살 쌍철창살 서울 특별시 특허 허가과 허가과장 허 과장 저기 저 콩깍지가 깐 콩깍지이냐 ? 안 깐 콩깍지이냐 ? 내가 그린 구름 그림 잘 그린 구름 그림 내가 그린 기린 그림 잘 그린 기린 그림 우리집 옆집 앞집 뒷 창살은..

네와 아니오의 차이

아이가 자라나면서 매사에 " 싫어. 아니. 아뇨. " 할때가 있다. 이 과정이 지나면 긍정의 대답도 잘 한다. 그런데 다 큰 어른들에서도 " 아니. 난 아니라고 봐. " 라고 하는 습관이 몸에 벤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자신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버릇이다. ( 자기자신에게 얼마나 해악이 되는지 .................... 알아야 할텐데 ) 아니오. 라는 반응은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장애요인 중 하나다. 일단 " 아뇨. " 라고 말해버리면 자존심때문에 그 말을 계속 고집할 수 밖에 없다. 나중에 가서 " 아니오" 라고 대답한 것이 현명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그럴때라도 자존심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일단 한마디 하고 나면 자기가 한 말을 고집해야 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그렇기 때..

南 北의 언어(言語) 차의(差意)

南 北의 언어(言語) 차의(差意) 南-------------------- 北 1. 아이스크림 ------------ 얼음보숭이 2. 도시락 ---------------- 곽밥 3. 쥬스 ------------------과일단물 4. 운동화 ----------------천신 5. 화장실-----------------위생실 6. 노크 ------------------손기척 7. 보조개 ----------------오목샘 8. 김매기 ----------------풀잡이 9 오두막 -----------------마가리 10.뮤지컬 ----------------가무이야기 11. 뒷걸음질 --------------물레걸음 12. 간섭 -----------------간참 13. 거짓말 --------------- 꽝..

[스크랩] 화술과 상대의 마음 읽기

1. 먼저 상대편에게 관심을 보여라. 청중에게 관심을 갖지 않고, 그저 말만하는 사람은 곧 실패하고 만다. 개도 자기에게 관심을 갖고 귀여워 해 주는 사람을 따른다. 2. 상대를 알아주고 인정해 주라 자기 중심적 사고방식은 상대를 무시하기 쉽다. 부인을 무시하는 남편은 아내로부터 무시 당한다. 3. 먼저 인사하고 만났던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라 . 과거 세종로에는 유명한 어느 다방이 있었다. 그 다방의 비결은 손님의 이름을 기억했다가 그 손님이 오면 이름을 불러 주는 것이었다. 4. 상대의 취미를 기억하라. 호감을 사기 위해선 상대의 취미를 파악하고 관심을 가져 주라. 그리하면 단시간에 거리를 좁히고 공감하는 동류의식(同類意識)을 느끼게 된다. 5. 자기 주장보다 남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라. 어느 세일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