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리어 강태영의 서비스 경영

말하기 듣기 8

말과 관련된 속담

말과 관련된 속담 속담(俗談)의 사전적 정의는 ‘옛적부터 내려오는 민간의 격언’이라든가, 혹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쉬운 격언이나 잠언’이라 되어 있다. 속담이 언어 표현 형식의 방식이고, 오랜 옛날부터 현재까지 그 속담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집약적으로 담아서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속담, 특히 한국어의 말 관련 속담에는 한국인들의 언어에 대한 총체적 인식이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말 관련 속담 속에 나타난 한국인의 다양한 언어관을 살펴봄으로써 한민족의 언어문화를 알 수 있다. ​ ​ 말과 관련된 속담 말과 관련된 속담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다른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데..

경청의 중요성

(옮긴 글) 경청의 중요성 알면 누구나 성공한다 오늘은 경청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경청의 사전적 의미 상대의 말을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전달하고자 하는 말의 내용은 물론이며, 그 내면에 깔려있는 동기(動機)나 정서에 귀를 기울여 듣고 이해된 바를 상대방에게 피드백(feedback) 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기법이다. ​ 결국 상대방의 이야기를 귀담아듣는다는 것입니다. 공감하는 능력이기도 하지요. 여기서 질문하나!! 우리나라의 대기업 하면 떠오르는 곳은? 어디가 떠오르시나요? ​ 제가 학생들 강의를 하면 꼭 빠지지 않고 첫 번째로 나오는 곳입니다 네 바로 삼성이죠! © anhnhat1205, 출처 Unsplash 저희가 매일 사용하는 제품들..

고객에게 주의 집중

항상고객에게 주의를 집중하고 적극적으로 응대한다. 이것은 반드시 지킵시다 1. 고객의 요청사항이나 문의사항이 있을 시는 "아, 네 그러십니까?"등으로 일단 고객의 말을 받고 최선을 다하여 적극적으로 신속하게 해결해주려는 모습을 보인다. 2. "안됩니다" "모릅니다" "없습니다"라는 부정적인 말을 사용치 말고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다시 한번 알아보겠 습니다"라고 대답한다. 3. 고객의 문의 내용이 자신의 업무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어도 확인하여 알려드리거나 담당자를 정확하게 연결시켜준 다. 4. 고객을 기다리게 할 경우에는 반드시 양해의 말을 구하고 기댜려야 할 시간이 어느정도인지 정확하게 알려준다. 기 다리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는 중간에 다시 양해를 구한다. 5. 고객과의 대화시 호텔전문용어 사용을..

최악의 커뮤니케이션

그저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이 이렇게 어려워서 되겠나 싶다. 제대로 할 수 없을 것 같다면 다음에 제시하는 10가지만 하지 않으면, 그래도 커뮤니케이션이 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10가지를 머릿 속에 넣어두고 자주 연습해보자. 하루아침에 바뀌지는 않겠지만, 조금씩 바뀌면서 정말 괜찮은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1. 대꾸 안하기 이것처럼 나쁜 의사소통법이 있을까? 무슨 말을 했는데 대꾸가 없으면 ‘대답할 가치가 없다’는 말을 하는 것과 같다. 증거를 남기지 않고 사람 열 받게 하는 기술도 대답을 안하거나 침묵을 길게 유지한 후 대답하는 것이다. 바로 대답하기 어려운 말이라면 ‘잠깐만’이나 곧 대답을 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2. 감정 무시하기 별 것 아닌 일에도 감정이 많이 상하기도 ..

[스크랩] 전화응대 상담기법

● 고객 상담이란? 상담원은 상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고, 소비자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상품선택에 구체적인 정보와 판단기준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현명한 구매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조언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고객상담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며 고객의 신뢰감을 얻는 것이며, 고객상담은 심리상담과는 달리 정보제공의 비중이 크다. ● 상담원에게 요구되는 능력 1. 인간적인 능력 : 상담 및 설득에 필요한 인내심, 타인의 상황에 대한 공감 능력 등을 포함한다. 2.전문적인 능력 : 전문적인 능력을 갖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상담원이 하여야 할 일은 ① 회사에 관한 지식, ② 상품에 관한 지식, ③ 시장에 대한 지식, ④ 업무에 대한 지식, ⑤ 고객의 구매심리..

[스크랩] 화술과 상대의 마음 읽기

1. 먼저 상대편에게 관심을 보여라. 청중에게 관심을 갖지 않고, 그저 말만하는 사람은 곧 실패하고 만다. 개도 자기에게 관심을 갖고 귀여워 해 주는 사람을 따른다. 2. 상대를 알아주고 인정해 주라 자기 중심적 사고방식은 상대를 무시하기 쉽다. 부인을 무시하는 남편은 아내로부터 무시 당한다. 3. 먼저 인사하고 만났던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라 . 과거 세종로에는 유명한 어느 다방이 있었다. 그 다방의 비결은 손님의 이름을 기억했다가 그 손님이 오면 이름을 불러 주는 것이었다. 4. 상대의 취미를 기억하라. 호감을 사기 위해선 상대의 취미를 파악하고 관심을 가져 주라. 그리하면 단시간에 거리를 좁히고 공감하는 동류의식(同類意識)을 느끼게 된다. 5. 자기 주장보다 남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라. 어느 세일즈맨..